본문 바로가기

적정주가9

image_article_rep_thumbnail_200x200 적정 주가 평가 방식 투자는 안전할까? DCF 또는 RIM 방식으로 기업의 적정 주가를 산출하고 개별 주 투자했을 때, 어떤 경험을 할 수 있는지 제 경험을 토대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일단 이런 가치 측정 방식으로 투자를 하면 묻지마 개별주 투자를 했을 때 보다 마음은 조금 편안합니다. 내가 아주 바닥에서 주식을 매수하지는 않았지만, 기업의 가치에 비해서 적정한, 혹은 조금은 싼 가격에 주식을 샀다는 안도감이 듭니다. 투자 후 주가가 오르락 내리락 합니다. 한 달, 두 달 지나서 조금 상승도 하니 제대로 투자를 했다고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몇 달 전 돈을 더 많이 담그지 않은 게 후회도 되면서 말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저평가되어있는 다른 종목은 없는지 매일 찾아보기도 합니다. 그러다 돌연 코스피 전체가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나의 주식도 마이.. 2022. 1. 27.
image_article_rep_thumbnail_200x200 하락장입니다. 공부합시다. 드디어 1년여 만에 하락장이 오는 것 같습니다. 작년에 코스피가 3200을 들락날락할 때 지금 투자를 해도 되는 타이밍인가? 알고 싶어서 코스피 PER, PBR 계산하는 방식을 포스팅한 적이 있습니다. 코스피 지수 PER, PBR 확인하는 방법 장세 판단을 위해 코스피 지수의 PER, PBR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코스피 지수 PER, PBR 알아서 뭐하게? 이전 작성했던 기본적 분석 시리즈의 PER, PBR 포스팅을 본다면 PER, PBR이 무엇이 twodongja.tistory.com 그 이후 코스피가 조금 빠진다 싶을 때마다 이 글의 조회수가 평소보다 많이 나오는 걸 확인할 수 있었는데, 요 며칠 해당 포스팅의 조회수가 또 많아져서 시장에 문제가 생겼나 싶었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하락.. 2022. 1. 25.
image_article_rep_thumbnail_200x200 적정주가 구하기 - 강환국 상속세 방식 퀀트 투자의 선구자 강환국 님의 유튜브 채널에서 본 상속세 전략에 관한 포스팅입니다. 상속세 방식이라는 이름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고, 붙일 이름이 딱히 없어서 임의적으로 붙인 이름입니다. 국세청이 기업에게 상속세를 징수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가치를 평가해야 하는데, 이 가치평가법을 이용해서 기업의 적정주가를 산출해 내는 방식입니다. 적정주가가 뭔지 모르는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투자하는 법 - 적정주가의 의미 상속세 전략 상세 국세청에서 상속세 징수를 위해 기업 가치 평가하는 방식은 기업의 순이익 60%, 순자산 40%로 평가합니다. 상속세 방식으로 적정 주가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총 발행 주식수, 3년 순이익 가중평균, 순이익 가치, 순자산 가치 이렇게 4가지를 알아야 합.. 2021. 6. 21.
image_article_rep_thumbnail_200x200 적정주가 전략 - BED 방식 백테스팅 (2003년-2020년) 적정주가를 산출하는 방식 중 BED 방식으로 투자 시 백테스팅 결과에 관한 포스팅입니다. BED 방식이란 '동일비중 포트폴리오로 가치투자하라'의 저자 이완규 작가님이 만든 적정주가 평가 방식입니다. 적정주가란 무엇이고 왜 필요한지? 그리고 BED 방식 전략의 원리가 무엇인지 아직 잘 모르시는 분들은 이전 포스팅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투자하는 법 - 적정주가의 의미 동일비중 포트폴리오 전략으로 가치 투자하라 책 리뷰 적정주가 계산 - BED 방식 (feat.동일비중포트폴리오) BED 전략 방식 백테스팅 진행한 전략의 설정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BED 방식으로 적정주가를 산출 안전마진 50% 이상의 종목만 선정 PER 2 이하, PBR 0.2 이하 종목 제거 최종 선발 종목을 시가총액이 낮은 순으.. 2021. 6. 17.
image_article_rep_thumbnail_200x200 적정주가 계산 - S-RIM 방식 (사경인 회계사 방식) 적정주가란? 적정주가는 현재 기업이 가지고 있는 가치에 상응하는 주가를 구하는 과정입니다. 오늘은 S-RIM이라는 적정주가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전에 두 차례에 걸쳐 적정주가를 구하는 방식을 포스팅한 바 있습니다. 적정주가라는 게 어떤 원리를 가지고 있는지 알고 싶으시면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적정주가 계산 - BED 방식 (feat.동일비중포트폴리오) 적정주가 계산 - 슈퍼개미 김정환 방식 S-RIM은 사경인 회계사님이 고안해낸 방식으로 기존의 RIM 방식을 약간 변형하여 자신의 이니셜 S를 넣어서 이름을 붙인 것 같습니다. '재무제표 모르면 주식투자 절대 하지 마라'라는 책에 나온 방식인데 책에서 S-RIM이라는 이름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꽤 부끄러워하셨던 것으로 기억합니.. 2021. 4. 29.
image_article_rep_thumbnail_200x200 적정주가 계산 - BED 방식 (feat.동일비중포트폴리오) 적정주가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BED 방식이 있습니다. BPS, EPS, DPS 수치를 기반으로 계산하는 방식으로, '동일비중 포트폴리오 전략으로 가치 투자하라'의 저자 이완규 작가님이 붙인 이름입니다. 중요 팩터의 앞글자를 따면서도, 침대(BED)처럼 편안한 투자법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름을 붙였다고 합니다. 책 리뷰는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동일비중 포트폴리오 전략으로 가치투자하라 책 리뷰 EWPS 전략의 BED 방식 동일비중 포트폴리오 시스템은 영어로 EWPS (Equally Weighted Portfolio System)라고 부릅니다. 저자는 EWPS 전략을 실행하기 위해서, BED 방식으로 종목을 선정하고, 그 종목 간의 비중을 리밸런싱 하는 전략을 취하면 연평균 10-15% 정도는 마.. 2021. 4. 14.
image_article_rep_thumbnail_200x200 적정주가 계산 - 슈퍼개미 김정환 방식 적정주가 계산 첫 번째 포스팅입니다. 슈퍼개미 김정환 님의 적정주가 계산 방식을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적정주가를 왜 구해야 하는지 모른다면 이전 포스팅을 보시고 오는 것을 추천합니다. 주식투자하는 법 - 적정주가의 의미 적정주가 = EPS * ROE * 100 적정주가를 계산하기 위한 김정환 님이 제시한 간단한 공식입니다. EPS는 주당 순이익을 의미하고, ROE는 자기자본이익률을 뜻합니다. EPS= 당기순이익 / 총주식발행수 ROE= 당기순이익 / 평균자기자본 (*100을 해주는 이유는 ROE가 %로 표시되기 때문입니다.) 위에 식에서 보는 것과 같이, EPS는 회사가 벌어들이는 이익을 총주식발행수로 나눠서 1주가 벌어들이는 순이익을 산출해낸 지표입니다. 즉, 현재 회사의 이익 규모를 토대로 .. 2021. 4. 6.
image_article_rep_thumbnail_200x200 주식투자하는 법 - 적정주가의 의미 적정주가가 의미하는 것 주식투자에서 적정주가가 의미하는 바는 큽니다. 기업의 가치를 어떻게 평가할지는 나의 자유이지만, 매매의 영역에서는 상대방도 똑같은 생각을 하고 있어야 매매가 성립하기 때문입니다. 할머니가 물려주신 목도리가 나에게 1억 원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고, 1억 원에 팔려고 내놨지만, 다른 사람에게는 그저 평범한 중고 목도리라는 생각이 든다면 매매가 성립되지 않을 것입니다. 매도자인 내가 생각하는 목도리의 적정한 가치와, 매수자인 상대방이 생각하는 적정한 가치의 합의가 이루어져야 매매는 성립합니다. 당연히 매도자는 상대방에게 되도록 비싸게 팔려하고, 매수자는 되도록 싸게 사려고 할겁니다. 그런 줄다리기 끝에 매도자와 매수자의 합의가 이루어져서 매매가 성립되는 가격을 시가(현재 물건의 값)라.. 2021. 4. 5.
image_article_rep_thumbnail_200x200 동일비중 포트폴리오 전략으로 가치투자하라 동일비중 포트폴리오란? 동일비중 포트폴리오란 균형 복원 투자를 말합니다. 투자 대상의 선정, 리벨런싱 기간, 투자자금을 정해서 규칙에 맞춰서 계속 동일 비중으로 맞춰가는 장기투자 전략입니다. 전략 프로세스 예를 들어서 동일비중 포트폴리오 전략을 간략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투자금은 100만 원, 투자군은 삼성전자와 LG전자, 리벨런싱 기간은 한 달이라는 시나리오를 세웁니다. 삼성전자와 LG전자에 50만 원씩 투자를 합니다. 한 달 뒤 두 주식의 평가액이 삼성전자가 60만 원, LG 전자가 50만 원이라고 칩시다. 동일 비중으로 맞추기 위해서 삼성전자의 주식에서 5만 원어치를 매도하고 LG 전자의 주식을 5만 원어치 매수하여 각각 55만 원씩 맞추는 것입니다. 만약 한 달 뒤에 두 주식의 평가액이 각각 45.. 2021. 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