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기장150

image_article_rep_thumbnail_200x200 6개월만 투자하는 핼러윈 효과 (11월-4월 주식 매수 전략) 핼러윈 효과란? 핼러윈 효과(Halloween effect)는 주식시장의 대부분의 수익은 11월부터 4월에 나오고, 5월부터 10월에는 주식시장의 수익률이 낮다는 이론입니다. 한마디로 11월 1일 주식 매수 - 다음 연도 4월 말에 모든 종목 매도하는 전략이 5월 1일 매수 후 10월 마지막 거래일에 매도하는 전략보다 높은 수익률을 보여준다는 것입니다. 11월부터 4월까지의 주식 수익률이 좋은 현상을 핼러윈 효과라고 부르는 이유는 주식시장이 좋아지는 기점이, 11월 초부터고, 10월 31일이 미국의 핼러윈 데이이기 때문에 붙여졌다고 합니다. 사실 이런건 논문 발표한 사람 마음입니다..ㅎ 핼러윈 전략은 일종의 마켓타이밍 전략입니다. 한국에서는 계절효과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5월부터 10월까지 수익.. 2021. 5. 17.
image_article_rep_thumbnail_200x200 엑셀 CAGR 구하는 RATE 함수 및 기하평균 공식 엑셀에서 CAGR(연평균성장률)을 구할 수 있는 2가지 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 퀀트 투자 백테스팅에서 CAGR값 산출은 반드시 필요한 과정입니다. 엑셀에서 CAGR은 RATE 함수를 통해서 구할 수도 있고, 직접 공식을 입력해서 구할 수도 있습니다. 저는 주로 RATE함수를 이용해서 구하는 편이지만 공식도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CAGR은 산술평균이 아닌, 기하평균으로 산출해야 합니다. CAGR, 산술평균, 기하평균에 대한 설명은 이전 포스팅에서 쉽게 설명해 놓았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연평균성장률(CAGR) 공식, 산술평균과 기하평균 이란? 코스피의 연평균성장률 (2003년 ~ 2020년) 아래는 코스피 수익률에 관해서 제가 백테스팅한 결과입니다. 매년 1월 첫 거래일에 코스피 지수를 (모든 .. 2021. 5. 13.
image_article_rep_thumbnail_200x200 연평균성장률(CAGR) 공식, 산술평균과 기하평균 이란? 투자에서 중요한 개념인 연평균성장률(CAGR) 구하는 공식과 산술평균, 기하평균에 관한 설명입니다. 투자 수익률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CAGR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특히 퀀트 투자 백테스팅시에 연평성장률을 구해서 각 전략마다 비교를 하고, 기준이 되는 주가지수와 개별 비교하는 등 무수히 많은 CAGR 비교를 통해 월등한 전략을 추출해야 하기 때문에 CAGR에 대해서 정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CAGR이란? CAGR은 영어로 Compound Annual Growth Rate의 약자로 연평균성장률을 의미합니다. 보통은 연평균수익률이라는 이름과 혼용해서 쓰기도 합니다. 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어떤 연도에는 수익이 나고, 어떤 연도에는 손실이 납니다. 그리고 그 수치도 들쭉날쭉 차이가 있습니다. 그 들쭉날쭉.. 2021. 5. 12.
image_article_rep_thumbnail_200x200 백테스트에 필요한 엑셀 Vlookup 함수 활용 엑셀에서 Vlookup 수식을 활용하여 다른 시트에서 동일한 이름의 다른 항목을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엑셀 기능에 관해서는 이미 잘 정리된 블로그들이 많으니까, 저는 엑셀의 기능에 중점을 두기보다 제가 주로 하는 작업에 필요한 기능들만 정리해서 올리려 합니다. 엑셀의 모든 함수를 다 알면 좋겠지만, 그럴 수는 없으니 꼭 필요한 함수만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일단 저는 자산관리와, 퀀트투자에 관심이 많은 1인입니다. 자산관리를 위해서는 엑셀 가계부를 활용하며, 퀀트 투자 시에는 백테스트를 해야 하기 때문에 엑셀을 사용합니다. 이에 자산관리와, 백테스트 영역에서 쓰이는 엑셀 함수를 집중해서 다뤄보려 합니다. Vlookup 함수란? Vlookup 함수는 엑셀 시트내에서, 혹은 다른 시트에서 사용자가 원하.. 2021. 5. 11.
image_article_rep_thumbnail_200x200 문병로 교수의 메트릭 스튜디오 리뷰 문병로 교수님의 메트릭 스튜디오는 한국 퀀트 투자의 씨앗이 된 책입니다. 2004년 3월에 발간되었으며 벌써 20년이 거의 가까웠습니다. 메트릭 스튜디오는 저자의 작업실을 말한다고 합니다. 사은품★ 문병로 교수의 메트릭 스튜디오 www.coupang.com 해당 링크 구매시 쿠팡파트너스 활동이 일환으로 소정의 수익금을 받습니다. 줄거리 지난 50여년간 발간된 논문을 토대로, 주식시장에서 기업들의 팩터 중 의미 있는 팩터가 무엇인지를 직접 실험을 통해서 증명하는 책입니다. PER, PBR, PCR, PSR, EV/EBITDA 등등 팩터들이 주식시장에서 수익률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백 테스팅해보고 그 결과가 담겨 있습니다. 그리고 기술적 지표로 상승의 신호로 알려진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정배열, 볼린저.. 2021. 5. 10.
image_article_rep_thumbnail_200x200 RPAR ETF 2021년 1분기 리포트(해석) 드디어 RPAR ETF의 2021년 1분기 리포트가 나왔습니다. RPAR ETF는 주관사인 ARIS에서 매 분기 리포트를 발행합니다. 저도 이번에 리포트를 보고 안사실이지만, ARIS는 RPAR ETF에대한 투자사이고, 리스크 패리티를 관리하는 회사이며, RPAR ETF를 운영하는 운영사는 아니라는 것입니다. 즉 RPAR ETF에 대한 리스크 패리티 지수를 제공하지만 펀드를 직접 운영하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이번 리포트는 총 25장으로 구성되어있는데, 그동안 해왔던 자산배분에대한 이야기들과 큰 변화가 없는 리포트였습니다. RPAR의 포트폴리오는 지금껏 지켜왔던 동적 자산배분 스탠스를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짧은 영어실력과 파파고의 도움을 받아서 번역을 해보았습니다. 일부 오역이 되어있을수 있으니, 필요.. 2021. 5. 9.
image_article_rep_thumbnail_200x200 기본적 분석 시리즈 - ROE, ROA ROE, ROA는 이전에 재무제표 포스팅에서 다뤘었는데, 일단 단독적인 포스팅이 필요해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기본적 분석 시리즈가 점점 막바지에 다가가고 있습니다. ROE 정의 ROE는 Return On Enquity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자기자본이익률을 의미합니다. 자기자본이익률이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본으로 벌어들인 이익률을 뜻합니다.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본에 비례해서 이익이 높다면 좋은 기업이므로 ROE는 높을수록 좋습니다. ROE 계산식 ROE = (매출총이익 - 판매관리비) / (총자산-부채) ROE = 당기순이익 / 지배 자본총계 ROA 정의 ROA는 Return On Asset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총자산이익률을 의미합니다. 총자산이익률이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산(자본+부채)으로 벌어들인.. 2021. 5. 6.
image_article_rep_thumbnail_200x200 퀀트 모멘텀 투자 기법 리뷰 : 모멘텀의 뜻 모멘텀(Momentum) 뜻 주식에서 모멘텀이란 특정 기간의 가격의 이동을 뜻합니다. 통상적으로 과거의 수익률(1~12개월)이 긍정적이었다면, 미래의 수익률도 긍정적일 수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만약 반대로 가격의 흐름이 부정적이었다면, 미래의 수익률도 부정적이라는 말이 되고, 결국 모멘텀이란 특정 자산의 가격이 추세를 가지고 있다는 뜻과도 일맥상통합니다. 더 나아가 모멘텀 계산방식을 사용해서 투자한다면 시장보다 초과 수익률을 얻을 수 있음이 현재는 많이 증명되었습니다. 이는 전통적으로 신봉되어오던 효율적 시장 가설 EMH(Efficient Market Hypothesis)에 반하는 이론입니다. 효율적 시장가설은 과거의 정보로 미래의 가격을 예측 할 수없다고 주장하였으며, 시장은 합리적이라 장기적으로 시.. 2021. 5. 5.
image_article_rep_thumbnail_200x200 기본적 분석 시리즈 - EV/EBITDA EV/EBITDA는 기업가치(EV)를 '이자, 세금, 감가상각비, 무형자산상각비 차감 전의 영업이익'(EBITDA)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 말은 즉, 기업가치를 변형(?) 영업이익으로 나눠서 '기업이 벌어들이는 돈이 몇 년 만에 기업의 가치만큼 될 까?' 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변형 영업이익이라 말하는 이유는 회계적으로 영업이익에는 감가상각비와, 무형자산상각비를 감산해야하지만 EBITDA을 산출하는 과정에는 감가상각비와, 무형자산상각비를 감산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EV/EBITDA는 '이브이이비에피타'는 읽기도 불편하고, 복잡해 보이지만 앞서 설명했던 PER, PBR처럼 기업의 특정 재무 금액끼리 더하고, 빼고, 나누고, 곱하는 간단한 산수로 산출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겁먹지 말고 세부내용을 하나씩 살.. 2021. 5. 4.
image_article_rep_thumbnail_200x200 기본적 분석 시리즈 - PSR, SPS 계산 PSR 정의 PSR은 Price Sales Ratio의 약자로 한국어로 주가매출비율을 뜻합니다. 주가매출비율이란 현재 주가 대비 기업의 매출 비율을 의미합니다. 1주당 발생하는 매출액이 높으면 PSR이 소수점으로 작게 나옵니다. PSR이 낮은 기업은 현주가대비 저평가된 기업이라 볼 수 있습니다. PSR 계산식 PSR = 현재 주가 / 주당매출액 PSR = 현재 주가 / (당기매출액/발행주식수) PSR = 현재 주가 / SPS(Sales Per Shared) 위에 식에서 보면 [주당매출액=(당기매출액/발행주식수)=SPS]가 같은 말임을 알 수 있습니다. PSR과 SPS를 묶어서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쉬워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SPS 정의 SPS는 Sales Per Shared의 약자로 한국어로 주당매출액을 .. 2021. 5. 3.
image_article_rep_thumbnail_200x200 기본적 분석 시리즈 - PCR, CPS 계산 PCR 정의 PCR은 Price Cash flow Ratio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주가현금흐름비율을 말합니다. 주가현금흐름비율이란 현재의 주가대비 현금흐름비율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CR 계산식 PCR = 현재 주가 / 주당현금흐름 PCR = 현재 주가 / (영업활동현금흐름/총발행주식수) PCR = 현주 주가 / CPS(Cash flow Per Share) 위에 식에서 보면 [주당현금흐름 =영업활동현금흐름/ 총발행주식수 = CPS]가 같은 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PER이나 EPS를 설명할 때와는 다르게 다소 생소한 지표라고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PCR 역시 CPS와 하나로 묶어서 생각하면 이해하기가 한결 수월해집니다. CPS 정의 CPS는 Cash flow Per Shar.. 2021. 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