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BITDA는 기업가치(EV)를 '이자, 세금, 감가상각비, 무형자산상각비 차감 전의 영업이익'(EBITDA)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 말은 즉, 기업가치를 변형(?) 영업이익으로 나눠서 '기업이 벌어들이는 돈이 몇 년 만에 기업의 가치만큼 될 까?' 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변형 영업이익이라 말하는 이유는 회계적으로 영업이익에는 감가상각비와, 무형자산상각비를 감산해야하지만 EBITDA을 산출하는 과정에는 감가상각비와, 무형자산상각비를 감산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EV/EBITDA는 '이브이이비에피타'는 읽기도 불편하고, 복잡해 보이지만 앞서 설명했던 PER, PBR처럼 기업의 특정 재무 금액끼리 더하고, 빼고, 나누고, 곱하는 간단한 산수로 산출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겁먹지 말고 세부내용을 하나씩 살펴보면 이해하기 한결 쉬울 것입니다.
EV의 정의
- EV는 Enterprise Value의 약자이며 한국어로 기업가치를 뜻합니다.
- 기업가치란 해당 기업을 인수할 때 필요한 금액이 얼마인지를 말해주기도 합니다.
- 기업의 가치는 시가총액에서 부채를 더하고 기업이 보유한 현금을 감산해서 산출합니다.
EV 계산식
- EV = (현재주가*발행주식수) + 부채 - 기업이 보유한 현금
- EV = 시가총액 + 부채 - 기업이 보유 현금
- EV = 기업가치
EBITDA의 정의
- EBITDA는 영어로 Earnings Before Interest, Tax,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의 약자입니다.
- 한국말로는 '이자, 세금, 감가상각비, 무형자산상각비 차감 전 이익'을 뜻합니다. '이비에피타' 라고 읽습니다.
- EBIT = 영업이익과 같은 뜻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여기에 감가상각비(Depreciation), 무형자산상각비(Amotization)를 더해준 것이 EBIT+DA입니다.
정리하자면, '장부상 산출된 영업이익에 감가상가비, 무형자산상각비를 더해준 값.' 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풀 네임의 이자, 세금 차감전은 굳이 생각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 이유는 어차피 영업이익(EBIT)은 매출총이익에서 판매관리비만 뺀 이자, 세금 차감전 이익이기 때문입니다. 이름에 뜻이 포함되어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기업의 매출구조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계시다면 이전 PSR 설명 포스팅 중간 부분 기업의 매출 이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기업의 매출의 이해
굳이 영업이익대신 EBITDA 지표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이유는 기업의 현금 창출 능력을 정확히 하기위함입니다. 기업이 생산을 위해 기기설비를 했다면, 기기의 감가상각비를 측정해서 감가상각비를 제외한 금액을 장부상 영업이익으로 산출합니다. 이것은 장부상의 기록일 뿐, 기업이 벌어들인 실제 현금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EBITDA처럼 감가상각비를 제하지 않은 영업이익 금액을 산출한 것입니다.
만약 영업이익은 낮은데 EBITDA가 높은 기업을 영업이익만으로 평가한다면, 해당 기업의 현금 창출능력을 과소평가한다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 설비는 예전에 다 끝났고, 지금 현금을 잘 버는 기업인데 기기의 감가상각비 때문에 영업이익이 낮게 나올 테니 말입니다.
EBITDA 계산식
- EBITDA = 영업이익 + (감가상각비+무형자산상각비)
- EBITDA = 이자, 세금, 감가상각비, 무형자산상각비 차감전 영업이익
EV/EBITDA 가 가치투자의 지표로 사용되는 이유
EV/EBITDA의 분자는 기업가치, 분모는 변형(?) 영업이익이니, 영업이익의 수익이 높을수록, 혹은 기업의 가치가 낮을수록 EV/EBITDA 값은 낮게 나옵니다. PER은 1주가 벌어오는 순이익을 측정해서 주식의 가치만큼 얻을 수 있는 기간이 얼마인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이와, 비슷한 개념으로 EV/EBITDA는 변형 영업이익을 측정해서 기업의 가치만큼 얻을 수 있는 기간을 알아낼 수 있는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EV/EBITDA의 값이 1이라면 1년의 변형 영업이익으로 기업 가치만큼 벌 수 있다는 뜻이 되고, EV/EBITDA 값이 5라면 기업가치만큼 벌려면 5년이 걸린다는 뜻입니다. 내가 만약 어떤 기업을 인수한다고 가정한다면, 인수자 입장에서는 기업 가치를 빨리 앞지를 수 있는 영업이익을 내는 기업을 인수하고 싶을 것입니다. 고로 기업의 저평가, 고평가를 평가할때 EV/EBITDA가 낮은 기업을 선호하는 것입니다.
- EV/EBITDA가 낮으면 투자금 회수가 빠른, 저평가 되어있는 기업
- EV/EBITDA가 높으면 투자금 회수가 느린, 고평가 되어있는 기업
EV/EBITDA 지표를 고려해야하는 이유는 이것뿐만이 아닙니다.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비 측정이 정확하다고 볼 수 없는것도 하나의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기업이 보유한 기기가 정말 10년후에 망가질지, 안망가질지, 10년 쓴 기계의 가치가 진짜 장부에 적힌 대로인지는 정확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기업의 세금제도도 나라마다 다릅니다. 이처럼 EV/EBITDA는 기업 가치 측정의 변수(감가상각, 세금제도 등)를 제거함으로써 좀 더 동등한 기준으로 기업간의 가치 비교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EV/EBITDA는 당기 순이익이 마이너스인 기업을 평가할 때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번 분기에 당기 순이익이 0원이 나와도 기업의 가치는 평가할 수 있어야 합니다. PER 같은 경우 당기순이익이 0 원이 나오거나 마이너스가 나온다면 계산을 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기업이 매년 이익을 내지 못하는 기업들도 부지기수 입니다. 당기 순이익이 마이너스가 나와도, EV/EBITDA로는 기업의 가치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물론 어느 지표나 마찬가지로 최강의 지표는 없습니다. 다들 장, 단점이 있고 쓰임이 다르기 때문에 다른 지표들을 보조로 사용해 가면서 여러 지표를 연계해서 보는 것이 현명합니다. EV/EBITDA 역시 당기 순이익을 얻기 위해 고려해야 할 세금이나, 외상 매출에 대해서는 판가름할 수 없기 때문에 EV/EBITDA 한 가지만 본다면, 재무적으로 안 좋은 기업을 가려낼 수는 없을것입니다. 그래서 영업현금흐름을 볼 수 있는 PCR 같은 지표와 같이 보면 도움이 됩니다. 또 PCR 지표는 PER 지표랑 같이보면 도움이되니... 결과적으로는 하나에 얽매이지 말고, 여러 지표를 통해 기업을 넓게 보는 눈이 필요합니다.
기본적 분석 시리즈 - PCR, CPS 계산
'일기장 > 돈 굴리는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RPAR ETF 2021년 1분기 리포트(해석) (0) | 2021.05.09 |
---|---|
기본적 분석 시리즈 - ROE, ROA (0) | 2021.05.06 |
기본적 분석 시리즈 - PSR, SPS 계산 (0) | 2021.05.03 |
기본적 분석 시리즈 - PCR, CPS 계산 (0) | 2021.05.02 |
적정주가 계산 - S-RIM 방식 (사경인 회계사 방식) (0) | 2021.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