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밸런싱4 자산배분 리밸런싱 세부 절차 자산배분을 할 때 리밸런싱 세부 절차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자산배분 좋은거 알겠는데, 막상 실행하려하니 잘 안 되는 분들이 있을 겁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서 시행착오를 조금이나마 줄이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리밸런싱 절차 구체적 예시 저의 적립식 투자 방식은 리밸런싱 비율은 월 마지막 거래일 하루전날 산출하고, 마지막 거래일에 매수, 매도를 하는 것입니다. 1. 해외주식 : VOO, VGLT, AGG 2. 국내주식 : Tiger200 3. 달러 4. 현금 이렇게 4가지의 자산으로 구성합니다. 이전 포스팅을 보셨다면 월 마지막 거래일 - 1일에 포트폴리오 구성 비율을 산출하고, 마지막 거래일에 거래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게 되셨을 겁니다. 자산배분 리밸런싱을 언제 할 것인가? 동적 자산배분 리밸런싱의.. 2021. 12. 21. 리밸런싱을 어떤 방식으로 할 것인가? 저번 포스팅에서는 리밸런싱 날짜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번에는 리밸런싱 방식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리밸런싱 날짜 이야기 복습 동적 자산 배분 전략을 수행하면 리밸런싱 날짜가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것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는 월말 리밸런싱과 월초 리밸런싱 수익률에 대해서만 비교했지만, 리밸런싱을 월 중반에 하면 월말, 월초 리밸런싱보다 연 수익률 1%의 차이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강환국 님이 운영하는 유튜브 할 수 있다 퀀트 투자 채널에 381번 영상의 스샷입니다. VAA, DAA 등의 9개 동적 자산배분의 리밸런싱 날짜를 거래일 순으로 백테스팅한 결과입니다. 결과적으로 월중에 리밸런싱을 하면 월말에 리밸런싱 하는것보다 1% 이상 (고변동성 포트폴리오는 3%) 연평균 수익률 차이가.. 2021. 12. 16. 자산배분 리밸런싱을 언제 할 것인가? 동적 자산배분 리밸런싱의 고민 동적 자산배분을 하면 언제 리밸런싱을 해야 할지 고민을 많이 합니다. 리밸런싱 기간에 대한 고민은 사실 첫 시작에 불과합니다. 퀀트를 기반한 투자를 하시는 분들은 월말에 리밸런싱을 해야 한다는 것을 알 것입니다. 월초 월말 효과(Turn of the Month Effect) 때문에 마지막 거래일에 리밸런싱을 하는 것이 수익에 유리하다는 백테스트 결과가 있습니다. 그런데 거래일 마지막 날 종가에 주식거래를 한다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는 걸 동적 자산배분 투자를 해보면 압니다. 왜냐면 리밸런싱 비율은 마지막 날 종가가 형성된 후에 나오기 때문입니다. (그럼 종가에 어떻게 사지??) 리벨런싱 비율이 나오고나서 비율에 맞춘 매수/매도를 해야 하기 때문에, 보통 마지막 날 리밸런싱 비.. 2021. 12. 9. 수익이 날 수밖에 없는 자산배분 전략, 상관관계, 리밸런싱 고찰 자산배분 전략에 관한 고찰입니다. 초보 투자자들에게 꼭 필요한 자산배분에 대한 제 생각을 다루겠습니다. 자산배분 전략은 여러 투자 대상에 일정 비율로 자산을 나누어 투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투자자에게는 기본 중에 기본입니다. 그럼 어떤 자산에 나눠 투자를 해야 할까요? 그리고 그렇게 자산을 여러 곳으로 분산시키는 것만으로 과연 수익을 얻을 수 있을지에 대해 논리적으로 생각해봅시다. 상관계수란? 상관계수는 대상 간의 상승이 음(-)의 관계인지, 양(+)의 관계인지 그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통계학에서 쓰는 방식인데, 저는 통계학 전문가가 아니어서 제가 이해한 바로 쉽게 설명하겠습니다. A와 B 두 개의 투자 자산이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서로 상관관계가 일치한다면 상관계수 값은 1이고, 정반대가 된다.. 2021. 6.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