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적립식 투자하면서 손실을 보지 않는 방법
이전 포스팅에서 Sliding Window 방식으로 백테스팅한 결과 코스피를 매월 첫 거래일 종가에 매수하고 1년 되는 날 매도를 42년간 반복했다면 진입 시점에 상관없이 손실을 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적립식 투자를 하면서 손실을 보지 않는 방법 -1-
적립식 투자가 과연 안전한 투자일까?를 고민하면서 코스피 지수로 적립식 투자 백테스팅 해봤습니다. 손맛을 느끼기기 위해 손수 엑셀 노가다를 통해서 적립식 투자 백테스팅을 해보았습니다.
twodongja.tistory.com
이 전략을 편의상 "코스피 1년 적립 후 매도 전략"이라고 하겠습니다. 그렇다면 이번 포스팅에서는 1~10년, 15년, 20년, 30년 적립 후 매도 전략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코스피 1~10년 적립 후 매도 전략 수익률
아래의 표는 1~10년 적립 후 매도하는 방식을 Sliding Window 방식으로 매월 42년간 실행 한 수익률의 평균입니다.
코스피 1년 적립 후 매도 | 6.66% |
코스피 2년 적립 후 매도 | 6.72% |
코스피 3년 적립 후 매도 | 7.00% |
코스피 4년 적립 후 매도 | 7.43% |
코스피 5년 적립 후 매도 | 7.80% |
코스피 6년 적립 후 매도 | 8.10% |
코스피 7년 적립 후 매도 | 8.16% |
코스피 8년 적립 후 매도 | 7.85% |
코스피 9년 적립 후 매도 | 7.18% |
코스피 10년 적립 후 매도 | 6.30% |
표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가장 수익률이 좋은 '코스피 7년 적립 후 매도'에 대해서 전략 실행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 코스피가 처음 개장했던 1980년 1월 부터 7년 동안 매월 첫 거래일 종가에 n만원 매수 -1번 계좌
- 1980년 2월 부터 7년 동안 매월 첫 거래일 종가에 n만원 매수 - 2번 계좌
- 1,2 번 처럼 매월 7년 동안 n만원 매수하는 계좌를 만듬 - (2014년 1월이 마지막으로 만든 계좌)
- 1번 계좌 시작일로부터 7년 후인 1987년 12월 마지막 거래일에 1번 계좌 보유물량 모두 매도
- 2번 계좌 시작일로부터 7년 후인 1988년 1월 마지막 거래일에 2번 계좌 보유물량 모두 매도
- 4,5번 처럼 매월 7년 차 계좌의 보유 물량을 모두 매도함. (1980년 ~ 2021년 까지 백테스팅함)
- 이렇게 월별 Sliding Window 방식으로 42년간 실행한 수익률의 평균이 연 8.16%이다.
저번 포스팅에서 설명했던 것에서 연수만 늘어난 방식입니다. 7년 적립 후 매도하는 방식이 수익률이 제일 좋지만 사실상 이 방법은 실행하기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이유는 매수 금액을 잘게 쪼개야하기 때문입니다.
가령 10만 원씩 정액 매수하기로 정했다면
- 첫 번째 달에 10만 원
- 두 번째 달에 10만 원+새로운 계좌 10만 원
- 세 번째 달에 첫 번째 계좌 10만 원+두 번째 계좌 10만 원+새로운 계좌 10만 원
- N 번째 달에 첫 번째 계좌 10만 원+두 번째 계좌 10만 원+''''''''''''+N번째 계좌 10만원
이런 식으로 7년간 총 84개의 진입 시점이 만들어지고 각각 진입 시점마다 7년간 적립을 한다고 보면 됩니다. (이해하기 쉽게 풍차 돌리기 적금법 처럼 7년간 매월 7년 짜리 적금 계좌를 만든다고 보면 됩니다.)
그 후 1개 계좌당 7년이 되는 날에 한 계좌씩 매도하는 것입니다. 물론 그 달에도 계좌를 만들어서 42년간 계속 이어나가는 것입니다.
복잡하지만 이 방법이 아예 불가능한 투자법은 아닙니다. 저는 비슷한 방식으로 투자를 해본 경험이 있습니다. 하지만, 매달 들어가는 금액이 후반부로 갈 수록 엄청나게 커지고, 시행 횟수도 많아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멘탈로는 실행하기 불가능에 가깝다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왜 이런 글을 쓰고 이런 백테스트를 할까요? 본 포스팅은 이런 식의 전략을 추천하기 위해 쓴 글이 아닙니다. 이 백테스팅이 주는 교훈은 따로 있습니다. 그 교훈은
"적립식 투자도 장기투자+매도 규칙을 정하면 진입 시점에 상관없이 손실을 보지 않는다." 입니다.
1년 주기로 매도하던, 10년 주기로 매도하던 진입 시점 상관없이 매월 들어가서 장기간 적립식 투자를 한다면 6 ~ 8%의 단리 수익률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그것도 거지 같은 코스피 시장에서 말입니다.
코스피 15년, 20년, 30년 적립 후 매도 전략 수익률
그렇다면 적립식 투자를 1~10년보다 더 오래 하면 수익률이 더 좋아질까요?
코스피 15년 적립 후 매도 | 6.16% |
코스피 20년 적립 후 매도 | 4.44% |
코스피 30년 적립 후 매도 | 5.81% |
결과는 그렇지 않습니다. 백테스팅 결과 "코스피 1년 적립 후 매도" 전략보다 낮은 수익률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아마도 그 이유는 코스트 에버리지 효과가 떨어졌기 때문일 것입니다.
코스트 에버리지 효과의 감소는 적립식 투자의 치명적인 단점이며 이것에 대해 포스팅한 바 있습니다. (제 블로그를 잘 찾아보면 이런 단점을 해결하는 방법도 찾을 수 있습니다.)
적립식 투자 전략 - DCA 장점과 단점
적립식 투자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 중 보편적으로 많이 알려진 DCA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몇 번에 걸쳐서 적립식 투자 방법에 대해서 시리즈로 연재하려 합니다. DCA 전
twodongja.tistory.com
여기서 또 하나를 배웁니다. '아! 정액형 적립식 투자를 너무 길게 끌고 가면 수익률이 안 좋아지겠구나!?'
수익률 분포 확인
마지막으로 1~10년, 15년, 20년, 30년 월별 Sliding Window 방식으로 백테스팅한 적립식 투자의 수익률 분포를 확인하겠습니다.
이 표에서 점 1개가 해당 전략의 1 사이클 동안의 수익률 입니다. 좌측 상단의 1년 주기 수익률 그래프는 평탄하지 않으며, 어떤 진입 시점에는 -40%까지도 손실을 입을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여기서 수익률은 세금, 배당수익을 제외함)
반면 20년 주기 수익률 분포 부터는 그 어떤 진입 시점에서도 손실이 나지 않습니다.
30년 주기 수익률 그래프에 최하단은 50% 정도입니다. 30년간 투자해서 원금의 50% 수익을 얻는다면 분통이 터질 일이지만 어찌 됐건 최하 50% 수익은 나왔다는 말입니다.
위 그래프는 평균수익률이 아닌 하나의 진입 시점 수익률이므로 30년간 적립식 투자를 한다면 그 어떤달에 투자를 하던 최소 50% ~ 425% 까지 수익을 볼수있음을 나타냅니다.
그래프에서 앞부분은 Y축 값이 높은데 반해 뒷부분은 Y축 값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코스피 역사 42년을 반으로 뚝 잘라서 전반부의 적립식 투자 수익률이 후반부 적립식 투자 수익률보다 훨씬 좋았음을 나타냅니다.
결론
이번 백테스팅을 통해서 몇 가지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습니다.
- 코스피 시장 하나만 가지고 적립식 투자를 단기간 실행한다면 손해를 볼 확률이 높아진다.
- 5년 동안 적립식 투자를 한다면 원금 손실 확률은 20%, 15년 동안 적립식 투자의 손실확률은 2.56%이다.
- 20년 이상 적립식 투자를 한다면 최소한 손해는 보지 않을 수 있다.
- 단기 적립식 투자시 매도 규칙을 정하고, Sliding Window 방식으로 투자한다면 괜찮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 코스피 시장에서도 장기 적립식 투자는 코스트 에버리지 효과의 감소로 수익률이 악화된다.
- 40년 전 코스피 적립식 투자자가 20년 전 코스피 적립식 투자자보다 수익률이 높다.
- 앞으로 코스피 적립식 투자를 하는 사람은 과거의 코스피 적립식 투자자보다 적은 수익률을 얻을 가능성이 높다.
이 글의 작성 의도는 적립식 투자의 안정성에 대해서 평가하기 위함입니다. 스트레스 테스팅을위해 거지 같은 종목인 코스피를 일부러 골랐고, 월초 매수 후 특정 기간 후 매도라는 심플한 전략을 택했습니다.
그 결과는 역시나 장기투자와 리밸런싱이 답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코스피에서도 이런데 미국 시장, 글로벌 시장 등에 분산 적립식 투자를 한다면 좀 더 나은 수익률과 안전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해봅니다. (실제로 저는 그런식으로 분산투자 중입니다.)
아무쪼록 투자에 도움이 되는 자료였기를 바라며, 투동자 분들의 성공투자를 기원합니다.
- 투자를 권유하는 포스팅이 아닙니다.
- 백테스트는 과거의 자료일 뿐입니다. 미래의 수익을 보장해 주지 않습니다.
- 백테스트 과정에서 실수, 오류, 데이터 오염이 있을 수 있음을 알립니다.
공감과 댓글, 공유하기는 포스팅 작성에 큰 힘이 됩니다.
도움이 되는 정보였다면 반응을 부탁드립니다. 😊
'일기장 > 전략연구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립식 투자를 하면서 손실을 보지 않는 방법 -1- (0) | 2022.01.19 |
---|---|
자산배분 리밸런싱 세부 절차 (0) | 2021.12.21 |
리밸런싱을 어떤 방식으로 할 것인가? (0) | 2021.12.16 |
자산배분 리밸런싱을 언제 할 것인가? (0) | 2021.12.09 |
백테스팅의 허와 실에 관한 좋은 영상 (공유) (0) | 2021.08.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