퀄리티지표2 기본적 분석 시리즈 - GP/A 퀄리티 지표 중 최신 지표에 해당하는 GP/A에 대한 설명입니다. GP/A는 로버트 노비 막스(Robert Novy Marx) 교수가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가장 노이즈가 적은 팩터라고 주장한 지표입니다. 기본적 분석 시리즈 PSR, SPS를 다뤘을 때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에는 노이즈가 많이 끼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 바 있습니다. 기업의 매출에 대한 이해가 없으시다면 아래 포스팅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기본적 분석 시리즈 - PSR, SPS 계산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은 기업에서 조작하기 쉽습니다. 투자자들이 예의주시하고 있는 항목이기도 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하지만, 매출이나 매출원가는 상대적으로 조작하기 어렵기 때문에 노비 교수는 매출총이익을 지표로 활용하는 GP/A를 2003년 논문에.. 2021. 5. 24. 기본적 분석 시리즈 - ROE, ROA ROE, ROA는 이전에 재무제표 포스팅에서 다뤘었는데, 일단 단독적인 포스팅이 필요해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기본적 분석 시리즈가 점점 막바지에 다가가고 있습니다. ROE 정의 ROE는 Return On Enquity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자기자본이익률을 의미합니다. 자기자본이익률이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본으로 벌어들인 이익률을 뜻합니다.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본에 비례해서 이익이 높다면 좋은 기업이므로 ROE는 높을수록 좋습니다. ROE 계산식 ROE = (매출총이익 - 판매관리비) / (총자산-부채) ROE = 당기순이익 / 지배 자본총계 ROA 정의 ROA는 Return On Asset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총자산이익률을 의미합니다. 총자산이익률이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산(자본+부채)으로 벌어들인.. 2021. 5. 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