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R 정의
- PBR은 Price Book-value Ratio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주당순자산비율을 말합니다.
- 주당순자산비율이란 현재 주가와 기업의 순자산가치와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PBR 계산식
- PBR = 현재주가 / 주당순자산
- PBR = 현재주가 / {(자산총계 - 부채총계) / 총주식발행수}
- PBR = 현재주가 / BPS
위에 식에서 보면 [주당순자산 = (자산총계-부채총계) / 총주식발행수 = BPS]가 다 같은 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PER을 설명할 때 EPS를 설명한 것처럼, PBR을 설명할 때 BPS를 같이 설명해야 합니다. 둘을 엮어서 기억을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BPS 정의
- BPS는 Book value Per Share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주당순자산가치를 말합니다.
- 주당순자산가치란 주식 1주에 포함된 기업의 순자산가치를 의미합니다.
BPS 계산식
- BPS = 자산총계 - 부채총계 / 총주식발행수
- BPS = 자본총계 / 총주식발행수
- BPS = 주당순자산 가치
자산에서 부채를 빼면 순자산. 즉, 자본이 됩니다. 이 자본을 총주식발행수로 나누면 BPS(Book value per share)가 됩니다. 자본총계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순수한 기업의 돈을 의미합니다. 이 순수한 기업의 돈을 총주식발행수로 나눠서 1개의 주식에 녹아있는 기업의 순수한 자본을 구할 수 있습니다. 주당순자산 가치는 1개 주식의 청산가치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BPS란 순수한 내 돈을 총주식수로 단순히 나눈 값이기 때문입니다.
PBR이 가치투자 지표로 사용되는 이유
현재주가를 주당순자산으로 나누면 현재주가와 주당순자산과의 비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PBR이 1이라는 것은 현재주가가 주당순자산과 1:1의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PBR이 1보다 작다면, 현재주가가 주당순자산보다 싸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저평가
- PBR이 1보다 크다면, 현재주가가 주당순자산보다 비싸다고 볼 수 있으므로 고평가
그래서 과거부터 가치주를 평가할 때는 PBR이 낮은 주식을 선호했던 것입니다. PBR이 1보다 작다면 지금 기업이 파산해도 1주의 가치가 파산 금액보다 높기 때문에, 주가의 상승여력이 남아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 것입니다.
PBR 구하기 예제
A 기업은 총 1만주를 발행했습니다. A 기업의 자산 총계는 100억이고 부채는 50억입니다. 현재 주가가 10만 원이라면 이 기업의 PBR은 몇인가요? 그리고 이 기업의 가치는 어떠할까요?
#계산:
- PBR = 현재주가(10만원) / BPS(자산총계 100억 - 부채 총계 50억 / 총 발행주 10,000주)
- PBR = 100,000 / 500,000
- PBR = 0.2
#해석:
A 기업은 PBR 0.2인 기업으로 기업의 미래는 어떻게 될지 모르지만, 현재 시점의 가치를 따져 봤을 때 저렴한 주식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BPS의 변동에 따라 A 기업의 PBR은 계속 변동하므로, 분기별로 BPS를 확인해서 기업의 자본총계가훼손되는지 살펴야 합니다.
'일기장 > 돈 굴리는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당락 완벽정리 (뜻, 배당락일 계산) (1) | 2021.04.24 |
---|---|
권리락 완벽정리 (뜻, 주가 계산법) (0) | 2021.04.22 |
기본적 분석 시리즈 - PER, EPS 계산 (0) | 2021.04.20 |
이율 가장 높은 파킹통장 구성하기 (2021.04월 VER.) (0) | 2021.04.15 |
적정주가 계산 - BED 방식 (feat.동일비중포트폴리오) (0) | 2021.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