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지수2 ETF의 이해 - 2. ETF 상품명 이해하기 혹시 ETF 상품을 하나하나 검색하는데 시간을 쓰고 있지는 않으신가요? ETF 상품명만으로 종목의 특성을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합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ETF에 대한 대략적인 이해가 되었으리라 생각합니다. ETF는 인덱스 펀드와 주식의 성격을 지닌 상품이라고 이전 포스팅에서 이야기했습니다. ETF의 이해 - 1. ETF란 무엇인가? (장점과 단점) ETF가 뭔지 대충은 아는데 투자를 하려고 종목명을 보니 대체 무엇을 뜻하는지 몰라서 어려움을 겪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 네이버라는 주식 종목이 있으면 그 종목은 회사 이름이라는 것 정도는 초등학생도 알 겁니다. 하지만 ETF 상품은 'ARIRANG KS 로우볼 가중 TR' 식으로 종목 이름이 적혀있기 때문에 대체 저게 무엇을 뜻하고 .. 2021. 6. 25. 코스피 과열을 판단하는 기준을 세워보자. 코스피 과열을 측정하는 기준을 세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코스피의 과열 상태를 우리 같은 개인 투자자가 알 수 있을까요? 미리 말하지만, 미래의 주가를 예측하는 건 어리석은 행위입니다. 미래의 주가는 누구도 알수 없고, 예측할 수 없는 영역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자칫 잘못하면 나도 모르는 사이에 확증편향에 빠져버릴 수 있습니다. 만약 거시경제를 잘 본다고, 미래의 주가가 예측 가능했다면 지구에서 가장 부자가 된 사람은 경제학자들이었을 겁니다. 하지만 경제학자들이 세계 최고부자는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스피의 과열 상태를 예측하고 싶다. 인간은 똑같은 실수를 반복합니다. 무의미하다는 걸 알면서도 미래를 예측하고 싶어 합니다. 저도 그렇습니다. 개별종목의 상승과 하락은 기업의 고유 가치보다 코스피의 장.. 2021. 4. 2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