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oe2

image_article_rep_thumbnail_200x200 기본적 분석 시리즈 - ROE, ROA ROE, ROA는 이전에 재무제표 포스팅에서 다뤘었는데, 일단 단독적인 포스팅이 필요해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기본적 분석 시리즈가 점점 막바지에 다가가고 있습니다. ROE 정의 ROE는 Return On Enquity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자기자본이익률을 의미합니다. 자기자본이익률이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본으로 벌어들인 이익률을 뜻합니다.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본에 비례해서 이익이 높다면 좋은 기업이므로 ROE는 높을수록 좋습니다. ROE 계산식 ROE = (매출총이익 - 판매관리비) / (총자산-부채) ROE = 당기순이익 / 지배 자본총계 ROA 정의 ROA는 Return On Asset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총자산이익률을 의미합니다. 총자산이익률이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산(자본+부채)으로 벌어들인.. 2021. 5. 6.
image_article_rep_thumbnail_200x200 적정주가 계산 - 슈퍼개미 김정환 방식 적정주가 계산 첫 번째 포스팅입니다. 슈퍼개미 김정환 님의 적정주가 계산 방식을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적정주가를 왜 구해야 하는지 모른다면 이전 포스팅을 보시고 오는 것을 추천합니다. 주식투자하는 법 - 적정주가의 의미 적정주가 = EPS * ROE * 100 적정주가를 계산하기 위한 김정환 님이 제시한 간단한 공식입니다. EPS는 주당 순이익을 의미하고, ROE는 자기자본이익률을 뜻합니다. EPS= 당기순이익 / 총주식발행수 ROE= 당기순이익 / 평균자기자본 (*100을 해주는 이유는 ROE가 %로 표시되기 때문입니다.) 위에 식에서 보는 것과 같이, EPS는 회사가 벌어들이는 이익을 총주식발행수로 나눠서 1주가 벌어들이는 순이익을 산출해낸 지표입니다. 즉, 현재 회사의 이익 규모를 토대로 .. 2021. 4. 6.